dcsimg

혹등고래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혹등고래(흑고래, 학명: Megaptera novaeangliae)는 수염고랫과 혹등고래속에 딸린 고래이다.[2] 성체는 몸길이가 12-16m 이고, 무게는 30톤 정도 나간다. 고래뛰기와 긴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복잡한 노래소리로 잘 알려져 있다. 전 세계의 대양에 서식하나 지중해에서는 거의 목격되지 않는다.

분류

혹등고래속의 유일한 으로 긴수염고래와 유전적으로 가깝다. 남방혹등고래, 북태평양혹등고래, 북대서양혹등고래 3 종의 아종이 있다. 가슴의 길쭉한 지느러미발과 등에난 혹때문에 다른 고래들과 확연히 구분된다.[3] 최근 DNA 분석에 따르면 귀신고래가 혹등고래와 가장 가까운 친연관계에 있다.[4][5]

혹등고래를 처음 분류한 사람은 프랑스의 동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으로 1756년 《동물학》에 baleine de la Nouvelle Angleterre(발랭 드 라 노베이유 앙글래테르, 뉴잉글랜드고래)로 등재하였다. 1781년 독일의 동물학자 게오르그 하인리흐 보로브스키는 브리송의 등재명을 라틴어로 바꾸어 Balaena novaeangliae(발래나 노배앙글리애)로 학명을 표기하였다. 1801년 프랑스의 자연사가 베르나르드 제르망 드라세페드는 학명을 B. jubartes(혹고래)로 표기하고 참고래과로 분류하였다. 1846년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Megaptera(메가프테라, 큰지느러미)로 흑고래속을 새로 만들고 혹등고래를 단일종으로 분류하면서 Megaptera longipinna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1932년 미국의 자연사가 레밍턴 캘로그는 새로운 속을 인정하지 않고 보로브스키의 학명으로 회귀하였다. 오늘날 혹등고래는 수염고래과의 흑고래속으로 분류된다.[6]

2014년 영국 남극 탐험은 혹등고래가 서식지인 남방권, 북태평양권, 북대서양권에 따라 유전적 구별이 명확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세 종류의 아종으로 구분하였다.[7]

생김새

 src=
수면 위로 뛰어 오르는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뭉툭하게 생긴 몸체를 지니고 있으며 입 근처의 머리와 아랫턱에 많은 혹이 나있다. 꼬리가 크고 지느러미발이 무척 길다.[8] 입 안에는 아래 위 양쪽으로 각각 270 가닥에서 400 가닥에 이르는 어두운 색상의 고래 수염이 나있다.[9] 수염의 길이는 46 - 91 cm이다. 배에는 배꼽 부근에서 아랫턱에 이르는 깊은 주름이 좌우 대칭으로 나있다. 이 주름은 14 - 22 개 정도이다.[9]

암컷은 반구형으로 돌출된 생식공을 가지고 있어 수컷과 구별된다. 수컷은 짝짓기를 하지 않을 땐 생식기가 생식공 안에 감추어져 있다. 새끼는 열대와 아열대의 월동해역에서 태어난다. 각각의 흑고래는 꼬리지느러미의 다양한 모양이 마치 지문처럼 구별되기 때문에 사진 촬영하여 연구되고 있다.[10]

크기

다 자란 혹등고래 수컷의 몸길이는 대략 13 - 14 m 정도이고, 암컷은 조금 더 크게 자라 14 - 15 m 정도이다. 큰 개체 경우 몸길이 19 m, 지느러미발 길이는 6 m에 이르는 것도 있다.[11]

개체 구별

몸에 있는 여러 패턴의 차이로 개체를 구별한다. 휠록 대학교(wheelock university)의 웨일넷 데이터는 꼬리지느러미의 문양을 등록하여 개체를 기록하고 있다.[12]

분포

혹등고래는 북경 65도에서 남경 60도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한다. 여름에는 차가운 고위도 지방에서 나고,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열대아열대로 회유한다. 혹등고래는 포유류 가운데 이동을 매우 많이 하는 편에 속하는데, 연간 회유 경로는 약 25,000 km에 이른다. 단, 아라비아 해 개체군은 열대 해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지중해 동쪽, 발트 해, 북극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각주

  1. 국제자연보호연맹.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PDF). 2013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21일에 확인함.
  2. Mead, J.G.; Brownell, R.L., Jr. (2005). 〈Order Cetacea〉 [고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23–74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애널리사 베르타, 김아림 역, 《고래 - 고래와 돌고래에 관한 모든 것》, 사람의무늬, 2016년, ISBN 979-11-5550-156-6, 102쪽
  4. U Arnason, A Gullberg and B Widegren, Cetacea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s of all extant baleen whales and two sperm whale speci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Volume 10, Issue 5Pp. 960-970.
  5. Hatch, L.T., Dopman, E.B. & Harrison, R.G. (May 26, 2006).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baleen whales based on maternally and paternally inherited character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1: 12–27. doi:10.1016/j.ympev.2006.05.023.
  6. Sarah Oktay, PhD, Managing Director, UMass Boston Nantucket Field Station, The Short, Sad Life of a Humpback Whale Calf, Umass Boston News, July 26, 2011
  7. Tina Ghose (May 22, 2014). "Oceans Apart: 3 Humpback Whale Subspecies Identified". Discovery News. Retrieved May 22, 2014.
  8. Recovery Plan for the Humpback Whale (Megapten Novaeangliae) (PDF).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91. Retrieved 2011-06-30.
  9. Clapham, Phillip J.; Mead, James G. (1999). "Megaptera novaeangliae" (pdf). Mammalian Species. 604: 1–9. doi:10.2307/3504352.
  10. Pack, A., et al. "Penis extrusions by humpback whales (Megaptera novaengliae)." Aquatic Mammals 28.2 (2002): 131-146.
  11. Clapham, Phil (2002). "Humpback Whale".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San Diego: Academic Press. ISBN 0-12-551340-2. pp. 589–592.
  12. Humpback Whale Catalog Introduction Archived 2004년 10월 10일 - 웨이백 머신, Whalenet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