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Image of 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 Hara
Creatures » » Plants » » Dicotyledons » » Ivy Family »

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 Hara

황칠나무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황칠나무(黃漆--, Dendropanax morbiferus, 영어: Korean dendropanax)는 두릅나무과에 딸린, 사철 내내 잎이 푸른 큰키나무이다. 한국의 남부 해변과 섬의 산록 수림 속에 살며 높이 15m이다.[1][2] 껍질에 상처가 나면 황색 액이 나온다.

생김새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이 나지 않는다. 15미터까지 자란다.[2]

잎은 어긋나며 3-5갈래이나, 노목(老木)에서는 잎이 난형,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20cm이다.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있다. 잎자루 표면이 편평하고 홈이 있다.[2]

꽃은 양성화,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리고, 화축의 길이 3-5cm, 꿀샘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종형, 끝이 5갈래, 꽃잎 5장, 수술 5개, 자방 5실, 암술머리 5갈래이다.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 검은색으로 익는다. 9월 말에서 11월에 익으며, 길이 7~10밀리미터쯤 되고, 암술대가 남아있다.[2]

쓰임새

수액은 가구의 칠용으로 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뿌리와 가지를 풍하리(楓荷梨)[3] 또는 풍하이(楓荷梨)라 부르며 약으로 쓴다. 성미는 달고 따뜻하다. 풍습(風濕)을 제거하고 혈맥(血脈)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이 있다.[4]

사진

각주

  1.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PDF). Pocheo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437쪽. ISBN 978-89-97450-98-5.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Korea Forest Service 경유.
  2. 국립수목원 (2010년 6월 25일). 《식별이 쉬운 나무 도감》. 조이북. 550쪽. ISBN 9788994242040. |확인날짜=|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3. “풍하리(楓荷梨)”. 《한국전통지식포탈》. 특허청. 2007년 12월 6일. 2018년 7월 7일에 확인함.
  4. “풍하이(楓荷梨)”. 《한국전통지식포탈》. 특허청. 2007년 12월 6일. 2018년 7월 7일에 확인함.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황칠나무: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황칠나무(黃漆--, Dendropanax morbiferus, 영어: Korean dendropanax)는 두릅나무과에 딸린, 사철 내내 잎이 푸른 큰키나무이다. 한국의 남부 해변과 섬의 산록 수림 속에 살며 높이 15m이다. 껍질에 상처가 나면 황색 액이 나온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