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Image of Paradoxurus aureus
Unresolved name

Animalia

동물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src= 짐승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짐승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물(動物)은 동물계(動物界, Animalia)로 분류되는 생물의 총칭이다. 엽록소(葉綠素)를 갖지 않고 세포벽(細胞壁)을 갖지 않으며 몸속에 여러 기관(器官)이 있는 생물 중 다세포(多細胞)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운동 능력과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진핵생물(眞核生物)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동물’이라고 하는 말은 특히 일상어의 수준에서는 인간동물(人間動物)을 포함하지 않는 ‘비인간동물(짐승)’의 의미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동물(動物)’이라고 하는 단어의 좁은 의미의 뜻일 뿐이며, 인간도 생물학적으로 동물이다.

분류의 역사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이 칼 폰 린네의 첫 계급 분류로까지 이어졌다. 그 뒤로 생물학자들이 진화 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군들은 어느 정도 제한을 받아왔다. 이를테면 미시적인 원생생물(原生生物)은 이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동물로 여겼으나 지금은 별도로 취급한다.

린네의 원래 분류에서 동물은 세 개의 계 가운데 하나였으며, 이것이 연충류(蠕蟲類), 곤충류(昆蟲類), 어류(魚類), 양서류(兩棲類), 파충류(爬蟲類), 조류(鳥類), 포유류(哺乳類)로 나뉘었다. 그 뒤로 마지막 다섯 가지가 모두 하나의 문인 척삭동물(脊索動物)로 합쳐졌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들은 별도로 떨어져 나갔다.

하위 분류

아래는 동물계에 속(屬)하는 분류들이다.

동물계 (動物界, Animalia)

측생동물아계 (側生動物亞界, Parazoa)

진정후생동물아계 (眞正後生動物亞界, Eumetazoa)

참고:¹. 이들 이름은 한국어로 공식 명칭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임의로 한국어 명칭을 부여한다.

계통 분류

다음은 후편모생물의 계통 분류이다.[1][2][3][4]

후편모생물 홀로미코타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누클레아리아류

   

폰티쿨라류

    균류/
오피스토스포리디아

BCG2[5]

       

진균류

   

아펠리디움류

       

BCG1[5]

  로젤라아계/
은진균문  

로젤라목

     

Namako-37

   

미포자충류

              홀로조아

이크티오스포레아

    플루리포르메아

코랄로키트리움속

   

시소모나스속

    필로조아

필라스테레아

  깃편모충류  

동정편모충류

   

동물

           

다음은 동물의 계통 분류이다.[6][7][8][9][10]

동물

해면동물 Reef3859 - Flickr - NOAA Photo Library.jpg

진정후생동물

유즐동물 Comb jelly.jpg

  파라호소조아    

판형동물 Trichoplax adhaerens photograph.png

   

자포동물 Cauliflour Jellyfish, Cephea cephea at Marsa Shouna, Red Sea, Egypt SCUBA.jpg

    좌우대칭동물

진무장동물 Proporus sp.png

    후구동물

척삭동물 Cyprinus carpio3.jpg

   

암불라크라리아 Portugal 20140812-DSC01434 (21371237591).jpg

    선구동물 탈피동물

유극동물

     

절지동물 Long nosed weevil edit.jpg

   

선형동물 CelegansGoldsteinLabUNC 2.jpg

      나선동물 유악동물

윤형동물 Bdelloid Rotifer (cropped).jpg

   

모악동물 Chaetoblack 3.png

       

편형동물Sorocelis reticulosa.jpg

촉수담륜동물

연체동물Grapevinesnail 01.jpg

   

환형동물Polychaeta (no).JPG

                   

같이 보기

각주

  1. Peterson, Kevin J.; Cotton, James A.; Gehling, James G.; Pisani, Davide (2008년 4월 27일).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63 (1496): 1435–1443. doi:10.1098/rstb.2007.2233. PMC 2614224. PMID 18192191.
  2. Parfrey, Laura Wegener; Lahr, Daniel J. G.; Knoll, Andrew H.; Katz, Laura A. (2011년 8월 16일).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 (33): 13624–13629. doi:10.1073/pnas.1110633108. PMC 3158185. PMID 21810989.
  3. Hehenberger, Elisabeth; Tikhonenkov, Denis V.; Kolisko, Martin; Campo, Javier del; Esaulov, Anton S.;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7). “Novel Predators Reshape Holozoan Phylogeny and Reveal the Presence of a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in the Ancestor of Animals”. 《Current Biology》 27 (13): 2043–2050.e6. doi:10.1016/j.cub.2017.06.006. PMID 28648822.
  4. Tedersoo, Leho; Sanchez-Ramırez, Santiago; Koljalg, Urmas; Bahram, Mohammad; Doring, Markus; Schigel, Dmitry; May, Tom; Ryberg, Martin; Abarenkov, Kessy (2018년 2월 22일).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Fungal Diversity》 90 (1): 135–159. doi:10.1007/s13225-018-0401-0.
  5. BCG1 = basal clone group 1, BCG2 = basal clone group 2
  6. Peterson, Kevin J.; Cotton, James A.; Gehling, James G.; Pisani, Davide (2008년 4월 27일).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63 (1496): 1435–1443. doi:10.1098/rstb.2007.2233. PMC 2614224. PMID 18192191.
  7. Parfrey, Laura Wegener; Lahr, Daniel J.G.; Knoll, Andrew H.; Katz, Laura A. (2011년 8월 16일).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 (33): 13624–13629. Bibcode:2011PNAS..10813624P. doi:10.1073/pnas.1110633108. PMC 3158185. PMID 21810989.
  8. “Raising the Standard in Fossil Calibration”. 《Fossil Calibration Database》. 2018년 3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9. Laumer, Christopher E.; Gruber-Vodicka, Harald; Hadfield, Michael G.; Pearse, Vicki B.; Riesgo, Ana; Marioni, John C.; Giribet, Gonzalo (2018). “Support for a clade of Placozoa and Cnidaria in genes with minimal compositional bias”. 《eLife》. 2018;7: e36278. doi:10.7554/eLife.36278. PMC 6277202. PMID 30373720.
  10. Adl, Sina M.; Bass, David; Lane, Christopher E.; Lukeš, Julius; Schoch, Conrad L.; Smirnov, Alexey; Agatha, Sabine; Berney, Cedric; Brown, Matthew W. (2018).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Journal of Eukaryotic Microbiology》 66 (1): 4–119. doi:10.1111/jeu.12691. PMC 6492006. PMID 30257078.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