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Phyllurus)은 호주에 서식하는 작은 이다. 뛰어난 위장술 때문에 원래의 야생 서식지에서는 거의 목격하기 힘든데, 부분적으로는 몸 곳곳에 난 뾰족한 결절(en:tubercle)이 윤곽을 불명확하게 해주는 덕택이다.

P. caudiannulatus, P. gulbaru, P. kabikabi를 제외한 대부분의 들은 꼬리가 굉장히 납작하고 이파리 모양을 띈다. 이 종들 중 하나는 최근에 잎꼬리도마뱀붙이속에 재등록되었다.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은 마다가스카르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을 닮았다. 이 둘은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으므로 수렴진화의 예시라고 할 수 있다

하위

다음과 같은 종이 인정받고 있다.[3]

북방잎꼬리도마뱀붙이(en:Northern leaf-tailed gecko)는 Phyllurus cornutus(오길비, 1892)에서 Saltuarius cornutus이 되었다.

주의사항(en:Nota bene): 삽입어구의 이명 명명자(en:Binominal nomenclature)는 원래 해당 종을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Phyllurus)과는 다른 속에 속한 것으로 기술했을지도 모른다.

각주

  1. Dahms Tierleben. www.dahmstierleben.de/systematik/Reptilien/Squamata/Gekkota/Carphodactylidae.
  2. Russell AP. 1980. Underwoodisaurus Wermuth, a junior synonym of Phyllurus Schinz 1822. Journal of Herpetology 14 (4): 415-416.
  3. The Reptile Database. www.reptile-database.org.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Phyllurus)은 호주에 서식하는 작은 이다. 뛰어난 위장술 때문에 원래의 야생 서식지에서는 거의 목격하기 힘든데, 부분적으로는 몸 곳곳에 난 뾰족한 결절(en:tubercle)이 윤곽을 불명확하게 해주는 덕택이다.

P. caudiannulatus, P. gulbaru, P. kabikabi를 제외한 대부분의 들은 꼬리가 굉장히 납작하고 이파리 모양을 띈다. 이 종들 중 하나는 최근에 잎꼬리도마뱀붙이속에 재등록되었다.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은 마다가스카르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을 닮았다. 이 둘은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으므로 수렴진화의 예시라고 할 수 있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