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미모나스강(Pyramimonadophyceae) 또는 담록조강(Prasinophytes)은 분류학에서, 녹조식물문에 속하는 강의 하나이다. 원시적인 진핵 해양 녹조류이다.[2] 가장 잘 알려진 속은 오스트리오콕쿠스속(Ostreococcus, 오른쪽 그림 참조)으로 전 세계의 해양 샘플에서 발견된, 독립 영양 생활을 하는 진핵생물 중에서 가장 작은 종들(약 0.95 μm)로 간주된다.[3]
하위 목
계통 분류
다음은 2011년 렐리아르트(Leliaert) 등이 제안하고,[4] 2016년 실라(Silar)가 수정했으며[5] 2016년 렐리아르트[6]와 2017년 로페스 도스 산토스(Lopes dos Santos) 등의 녹조식물 분류군 연구,[7]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 연구,[8] 산체스-바라칼도(Sánchez-Baracaldo) 연구에 기초한 녹조식물 계통 분류이다.[9][10][11]
녹색식물/
녹색조류 메소스티그마문
클로로키부스문
스피로타이니아속
녹조식물/넓은 의미의 담록조류
초록방석말강 프라시노콕쿠스목
초록방석말목
피라미모나스강
마미엘라강
네프로셀미스강
?피크노콕쿠스과
피코키스티스강
클로로피콘강
녹조아문
페디노모나스강
클로로덴드론강
UTC 녹조식물군 트레보욱시아강
갈파래강
녹조강
스트렙토식물 클레브소르미디움강
Phragmoplastophyta
윤조식물
콜레오카이테강
유배식물
접합조강
중간띠먼지말과
각주
-
↑ Guiry, M.D. & Guiry, G.M. (2007). “Class: Pyramimonadophycea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0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Sym SD, Pienaar RN (1993). “The class Prasinophyceae”. 《Prog Phycol Res》 9: 281–376.
-
↑ Courties C, Vaquer A, Troussellier M, Lautier J, Chrétiennot-Dinet MJ, Neveux J, Machado C, Claustre H (1994). “Smallest eukaryotic organism”. 《Nature》 370: 255. doi:10.1038/370255a0.
-
↑ Leliaert F, Verbruggen H, Zechman FW (2011년 9월). “Into the deep: new discoveries at the base of the green plant phylogeny”. 《BioEssays》 33 (9): 683–92. doi:10.1002/bies.201100035. PMID 21744372.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
↑ Leliaert F, Tronholm A, Lemieux C, Turmel M, DePriest MS, Bhattacharya D, Karol KG, Fredericq S, Zechman FW, Lopez-Bautista JM (May 2016). “Chloroplast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e deepest-branching lineage of the Chlorophyta, Palmophyllophyceae class. nov”. 《Scientific Reports》 6 (1): 25367. Bibcode:2016NatSR...625367L. doi:10.1038/srep25367. PMC 4860620. PMID 27157793.
-
↑ Lopes Dos Santos A, Pollina T, Gourvil P, Corre E, Marie D, Garrido JL, Rodríguez F, Noël MH, Vaulot D, Eikrem W (2017년 10월). “Chloropicophyceae, a new class of picophytoplanktonic prasinophytes”. 《Scientific Reports》 7 (1): 14019. Bibcode:2017NatSR...714019L. doi:10.1038/s41598-017-12412-5. PMC 5656628. PMID 29070840.
-
↑ Novikoff A, Barabasz-Krasny B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쪽. doi:10.13140/RG.2.1.4745.6164. ISBN 978-966-397-276-3.
-
↑ Sánchez-Baracaldo P, Raven JA, Pisani D, Knoll AH (2017년 9월). “Early photosynthetic eukaryotes inhabited low-salinity habita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4 (37): E7737–E7745. doi:10.1073/pnas.1620089114. PMC 5603991. PMID 28808007.
-
↑ Gitzendanner MA, Soltis PS, Wong GK, Ruhfel BR, Soltis DE (2018년 3월).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105 (3): 291–301. doi:10.1002/ajb2.1048. PMID 29603143.
-
↑ Rockwell NC, Martin SS, Li FW, Mathews S, Lagarias JC (2017년 5월). “The phycocyanobilin chromophore of streptophyte algal phytochromes is synthesized by HY2”. 《The New Phytologist》 214 (3): 1145–1157. doi:10.1111/nph.14422. PMC 5388591. PMID 28106912.